“2월 4일~10일. 마태복음 4장; 누가복음 4~5장: ‘주의 성령이 내게 임하셨으니’”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19 신약전서(2019)
“2월 4일~10일. 마태복음 4장; 누가복음 4~5장”,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19
사탄을 이기신 그리스도, 로버트 티 배렛
2월 4일~10일
마태복음 4장; 누가복음 4~5장
“주의 성령이 내게 임하셨으니”
마태복음 4장과 누가복음 4~5장을 읽으며 공과 준비를 시작한다.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교재를 참조하면 이 부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본 개요를 통해 수업에 활용할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느낌을 기록한다
나누도록 권유한다
어린이들에게 예수님 그림을 차례대로 옆으로 넘겨 주자고 한다. 그림을 받은 어린이에게 예수님이 지상에 계실 때 하셨던 일을 한 가지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나는 예수님처럼 옳은 일을 선택할 수 있어요.
어린아이들은 “죄를 지을 수 없”다.(교리와 성약 29:47) 그러나 그들은 예수님께서 사탄의 유혹을 물리치신 이야기를 듣고 지금부터 옳은 일을 선택하겠다고 결심할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마태복음 4장 1~11절에 나오는, 예수님께서 유혹을 받으신 이야기를 들려준다.(또한 신약전서 이야기 30~31쪽, “제 11장 예수께서 유혹을 받으시다”, 또는 LDS.org에서 해당 동영상 참조) 이야기를 들려줄 때, 적절한 시점에 다음 질문을 한다. “예수님은 어떻게 하셔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
예수 그리스도의 그림을 전시해 놓고 어린아이가 내릴 만한 여러 가지 선택들을 이야기해 준다. 좋은 선택을 할 때마다 그림을 향해 한 걸음씩 다가가고, 그릇된 선택을 할 때마다 그림에서 한 걸음씩 멀어지라고 한다.
-
어린이들이 어린이 노래책 82쪽, “정의반 노래”의 노랫말을 익힐 수 있도록 노랫말에 어울리는 그림, 물건 또는 다른 시각 자료를 활용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나의 구주이십니다.
누가복음 4장 18~19절에는 예수님의 여러 가지 사명이 언급되어 있다. 어린이들이 예수께서 그들을 위해 하신 일에 대해 감사함을 느끼도록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누가복음 4장 18~19절을 읽어 주고,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지상에 오신 목적을 설명한다.(사람들을 가르치고, 위로하고, 치유하기 위해서) 그분은 여러분을 위해서 어떻게 이 일을 해 주셨는지 이야기해 준다.
-
어린이 몇 명에게 혼란스럽거나 슬프거나 아픈 시늉을 해 보라고 한다. 다른 어린이들은 어떻게 하면 그들을 도울 수 있을지 역할극으로 나타내 보게 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가르치고, 위로하고, 치유하기 위해 오셨으며 우리는 그분의 모범을 따라야 한다고 간증한다.
-
어린이들에게 여러 가지 사명을 성취하시는 예수님의 모습이 담긴 그림들을 보여 주면서(복음 그림책 참조), 각 그림에서 예수님이 무엇을 하고 계시는지 설명해 보라고 한다. 또한, 예수님처럼 되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의 사진을 보여 준다.(교회 잡지에서 찾을 수 있다.)
-
쪽지에 “예수 그리스도 덕분에”라고 시작하는 문장들을 적는다.(예를 들어 “예수 그리스도 덕분에 우리 가족은 영원히 함께할 수 있어요.”) 어린이들에게 각각 쪽지 한 장을 선택하라고 한 후, 거기 적힌 문장을 읽도록 도와준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에게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라고 권유하세요.
구주께서는 어린이를 포함한 우리 모두에게 “나를 따라오라 내가 너희를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라고 요청하셨다.(마태복음 4:19)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 두 명에게 여러분이 마태복음 4장 18~22절을 읽는 동안 시몬 베드로와 안드레 역할을 해 보라고 한다. 베드로와 안드레가 예수님을 따르기 위해 무엇을 포기했는지를 찾을 수 있도록 어린이들을 도와준다.
-
어린이들이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교재의 이번 주 개요에 있는 그림을 활용하여, 돌아가면서 이 성구에 나오는 이야기를 들려주게 한다.
-
어린이 노래책 86쪽, “나는 하나님 계획 따르리”를 함께 부른다. 우리는 이 노래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에 관하여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
이번 주 활동 그림을 활용하여, 어린이들과 함께 예수님을 따를 때 어떻게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될 수 있는지를 토론한다. 짝 맞추기 게임을 할 수도 있다. 각기 다른 물고기를 두 마리씩 그려서 오린 다음, 그림이 바닥으로 가도록 놓아둔다. 어린이들에게 한 번에 한 장씩 뒤집으며 똑같은 물고기를 찾아보자고 한다.
두 제자를 부르시는 그리스도, 게리 어네스트 스미스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예수님은 나에게 유혹을 물리치는 모범을 보여 주셨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사탄의 유혹을 받으셨지만, 결코 굴복하지 않으셨다. 어린이들이 그분의 모범을 따르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활동 아이디어
-
칠판에 표를 그리고 맨 위에 사탄의 유혹과 예수님의 대응이라고 적는다. 어린이들이 마태복음 4장 1~11절과 누가복음 4장 1~13절을 보면서 표를 채우도록 도와준다. 어린이들에게 자신들은 어떻게 예수님의 모범을 따를 수 있는지를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
어린이들이 잘못된 선택을 하도록 유혹을 받을 만한 상황 몇 가지를 적는다. 어린이 한 명이 그중 한 가지를 읽으면, 나머지 반원들은 그 상황에서 어떻게 유혹을 물리치면 좋을지 토론하게 한다.
나는 금식을 통해 하나님 아버지를 가까이 느낄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성역을 시작하시기 전에, 금식하시고 “하나님과 교통하”셨다. 어린이들이 금식을 할 때 영적인 힘을 얻고 하나님 아버지를 가까이 느낄 수 있음을 깨닫도록 돕는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 한 명에게 조셉 스미스 역 마태복음 4장 1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예수께서는 “하나님과 함께 하시려고” 무엇을 하셨는가? 여러분은 금식을 통해 어떻게 하나님 아버지를 가까이 느낄 수 있었는지 이야기한다.
-
금식을 해 본 적이 있는 어린이들에게 그 경험을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어린이들은 한 번도 금식을 해 본 적이 없는 사람에게 어떻게 금식을 설명할 수 있을까?
-
금식에 관련된 질문(금식하는 이유, 시기, 방법 등)을 종이에 적어서 그릇에 넣는다. 어린이들에게 질문지를 뽑은 다음 그 질문에 대답해 보라고 한다. 여러분이나 어린이들은 금식과 관련된 어떤 경험을 나눌 수 있는가?
예수 그리스도는 나의 구주이십니다.
구주께서 어떻게 여러분의 삶을 축복해 주셨는지 생각해 본다. 어린이들이 삶에서 그분의 영향력을 더 잘 인식하도록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활동 아이디어
-
한 어린이에게 누가복음 4장 16~30절을 요약 발표할 준비를 해 오라고 미리 부탁한다. 신약전서 이야기 42~43쪽, “제17장 화가 난 나사렛 사람들”과 해당 동영상(LDS.org), 또는 동영상 “자신이 메시야임을 선언하시는 예수님”(LDS.org)을 활용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
누가복음 4장 18절을 읽어 주고, 어린이들은 눈으로 따라 읽게 한다. 구주께서 무엇을 하러 오셨다고 말씀하셨는지 어린이들에게 목록으로 만들어 보라고 한다. 그리스도께서는 경전이나 어린이들의 삶에서 언제 이러한 일들을 행하셨는지 그 예를 이야기해 보자고 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에게 그분을 따르고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라고 말씀하십니다.
어린이들은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구주를 따르고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될 수 있다.(마태복음 4:19)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깨닫도록 어떻게 어린이들을 도와줄 수 있을까?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마태복음 4장 18~22절과 누가복음 5장 1~11절을 읽어 보라고 한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그분을 따르라는 부름에 어떻게 응했는가? 그들의 모범을 따르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어린이들에게 낚시 도구나 어부의 그림을 보여 준다.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리에게는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는 데 도움이 되는 어떤 도구들이 있는가?
가정에서 학습하도록 격려한다
어린이들이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는 것에 관해 배운 것을 가족들과 나누도록 권유한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어린이들은 영의 영향력을 인식할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의 복음에 관해 이야기하거나 노래할 때 느끼는 평안과 사랑, 따뜻함은 성신으로부터 온다고 가르친다. 그들은 이러한 느낌을 통해 간증을 쌓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