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발전을 위한 추가 도움
기술: 교과 과정에 있는 공과의 목적을 활용하여 공과 준비를 단순화하고 학생들을 위한 학습을 선택한다


“기술: 교과 과정에 있는 공과의 목적을 활용하여 공과 준비를 단순화하고 학생들을 위한 학습을 선택한다”, 『교사 지원 및 훈련 자료』(2024)

수업 준비

기술: 교과 과정에 있는 공과의 목적을 활용하여 공과 준비를 단순화하고 학생들을 위한 학습을 선택한다.

공부하는 청녀

나의 기본적인 이해력과 능력은 어느 정도인가? (평가):

다음 중에서 세미나리 교과 과정의 매 공과마다 있는 공과 목적과 관련된 여러분의 상황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1. 공과 목적을 어디서 찾아야 할지 잘 모르겠다.

  2. 공과 목적을 어디서 찾아야 하는지 알고 있지만 공과를 준비할 때 그것을 어떻게 잘 활용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

  3. 공과 준비에 도움이 되도록 공과 목적을 정기적으로 사용한다.

공과 목적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정의하기):

공과 준비를 단순화하고, 그리스도에 중심을 두고 경전을 기반으로 하며 학습자에게 초점을 맞춘 수업을 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공과 목적을 활용하여 공과를 준비하는 것이다. 또한 공과 목적을 활용하면 교과 과정에 무엇을 넣고 뺄지, 교과 과정을 어떻게 단순화할지를 더 자신 있게 조정할 수 있다. 세미나리 교과 과정의 각 공과에는 공과 목적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주간 개요와 각 공과의 첫 단락에 나와 있다. 이러한 공과 목적은 경전 블록에 대한 세심한 연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공과에서 찾을 수 있는 굵은 글씨체로 표시된 진리를 기반으로 한다. 경전과 공과 자료를 공부할 때, 공과 목적이라는 렌즈로 전체를 살펴보며 학생들이 그 목적을 성취하게 해 주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다음은 이를 위한 한 가지 방법이다.

  • 먼저 가르칠 공과의 목적을 읽는다.

  • 공과 목적을 염두에 두고 교과 과정에 있는 공과를 살피면서, 각 활동이 학생들이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될지 평가한다.

  • 공과를 살핀 후에, 공과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가장 도움이 될 만한 활동들을 결정한다. 결정한 활동들을 교사가 준비하고 학생들이 참여하는 수업의 우선순위로 삼는다.

누가 또는 무엇이 이에 대한 훌륭한 모범이 되는가? (시범 사례):

홍 자매는 교리와 성약 1편의 공과를 준비하기 시작한다. 그녀는 먼저 공과의 첫 문단을 읽으면서 목적을 찾아본다. 첫 문단의 맨 아래에는 “이 공과를 통해 학생들은 주님께서 세상에 경고하시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라고 적혀 있다. 그녀는 공과에서 할 수 있는 학습 활동을 살피면서, 공과 목적을 염두에 두고 공과에 교과 과정의 어떤 부분을 사용하고, 단순화하고, 생략할지를 결정한다. 그녀는 공과를 준비하면서 공과에 꼭 포함하고 싶은 부분을 찾는다. 예를 들어, 자기 평가, 교리와 성약 1편의 맥락, 학생들이 굵은 글씨체로 적힌 진리를 찾도록 돕는 활동,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시연해 보이는 마지막 활동 등은 모두 그녀가 공과에 반드시 포함하고 싶은 것들이다. 수업의 나머지 부분은 수업 시간에 따라 줄이거나 단순화하기로 한다.

이 기술을 사용하거나, 이 원리를 적용하는 연습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연습하기):

  • 준비해야 할 다음 수업의 교과 과정을 본다.

  • 첫 번째 단락에서 공과의 목적을 확인한다.

  • 공과 목적을 염두에 두고, 할 수 있는 학습 활동을 살펴보며, 학생들이 공과 목적을 달성하는 데 각각의 활동이 얼마나 도움이 될지 평가한다.

  • 그중에서 어떤 활동이 학생들이 이 목적을 달성하는 데 가장 도움이 될지 결정하고, 그것을 우선순위에 놓는다.

토론 또는 숙고하기:

  • 공과를 준비하면서 공과의 목적을 염두에 두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무엇을 배웠는가?

  • 공과의 목적을 염두에 두면 어떤 면에서 학생들의 학습을 향상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언제, 어떻게 이것을 적용할 것인가?

이번 주에 공과를 준비하면서, 먼저 공과의 목적을 읽는 것으로 시작한다. 교과 과정을 읽으면서 공과의 목적을 염두에 두고 각 활동이 학생들이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될지 평가한다. 학생들에게 가장 도움이 될 활동을 정하고 우선순위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