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찬”, 『주제 및 질문』(2023)
복음 학습 안내서
성찬
예수 그리스도께 더 가까이 나아가게 하는 성스러운 의식
여러분에게 성찬은 어떤 의미인가? 여러분이 그 의미를 이해하려고 노력할 때, 매주 이 성스러운 의식에 참여하는 것은 여러분의 삶에서 영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예수님은 십자가에 못 박히시기 직전에 유월절 기념 식사를 하기 위해 제자들을 모으셨다. 그분은 자신의 필멸의 삶이 곧 끝나고 제자들을 떠나게 될 것임을 아셨다. 그분은 제자들이 당신의 가르침을 기억하기를 바라셨다. 그러한 상황에서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떡과 포도주를 주시며 당신의 몸과 피를 기념하여 이를 취해야 한다고 설명하셨다.
여러분이 성찬의 의미와 목적을 공부하려고 노력할 때, 그분께서 여러분을 위해 하신 모든 일에 대해 깊은 감사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제1편
여러분은 성찬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할 수 있다
예수님은 기적적으로 오천 명의 사람들을 먹이신 다음 날 복음을 전파하며 다음과 같이 가르치셨다.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영생을 가졌고 마지막 날에 내가 그를 다시 살리리[로다.]”(요한복음 6:54) 당시에 이 말씀을 들은 제자들은 혼란스러웠을 것이다. 그러나 그 의미는 이후에 주님께서 마지막 만찬 중에 제자들에게 성찬을 소개하셨을 때 더욱 분명해졌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회원으로서 여러분은 매주 성찬 의식에 참여할 기회를 가진다. 빵과 물을 취하는 것은 하나님의 모든 자녀를 위해 값없이 주신 예수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기억하게 해 준다.
생각해 볼 점
-
예수 그리스도께서 예루살렘에 있는 제자들과(마태복음 26:26~28; 마가복음 14:22~24; 누가복음 22:19~20 참조) 니파이인들에게(제3니파이 18:1~11 참조) 성찬 의식을 소개하시는 경전 기사를 읽는다. 이 구절들에서 성찬에 관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또한 조셉 스미스 역 성경, 마태복음 26장 22, 24~25절과 조셉 스미스 역 성경, 마가복음 14장 20~25절에 나오는 기사를 읽어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
모세서 5장 4~8절을 읽는다. 고대에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자녀들에게 하나님의 어린 양인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의 모형으로 동물 희생을 바치라고 명하셨다. 오늘날 성찬은 구약 시대의 희생과 같은 목적을 어떻게 달성하는가?(또한 교리와 성약 59:9~12 참조)
-
주님께서는 조셉 스미스에게 우리가 성찬을 취하는 목적을 기억하기만 한다면 무엇을 먹고 마시는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말씀하셨다.(교리와 성약 27:1~2 참조) 성찬 상징물로 무엇을 사용하느냐가 그 상징물이 무엇을 기억하게 하느냐보다 중요하지 않은 이유를 생각해 본다.
다른 사람과 함께 배우는 활동
더 알아보기
-
제프리 알 홀런드, “보라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 『리아호나』, 2019년 5월호, 44~46쪽
제2편
성찬을 위해 합당하게 준비하면 축복을 받는다
이따금 여러분은 주님께서 의도하신 대로 이 성스러운 의식을 진정으로 받아들이고 경험하는 것을 잊어버린 채 성찬 의식 내내 그저 앉아 있기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러분은 성찬을 위해 준비하고 합당하게 취하려고 노력할 때 풍성한 축복을 받을 자격을 갖추게 될 것이다.
데이비드 에이 베드나 장로는 이렇게 설명했다. “성찬 의식은 곧 진실하게 회개하여 영적으로 새롭게 되라는 거룩하고도 반복적인 권유입니다. 성찬을 취하는 행위 그 자체로는 죄 사함을 받지 못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성심껏 준비하여 상한 마음과 통회하는 심령으로 이 거룩한 의식에 참여한다면, 우리는 주님의 영이 항상 우리와 함께할 것이라는 약속을 받습니다. 또한 성신의 성결하게 하는 권능을 변하지 않는 동반자로 삼아, 죄 사함을 항상 간직할 수 있습니다.”
생각해 볼 점
-
고린도전서 11장 23~29절을 읽는다. 성찬을 취할 때 “자기를 살피”라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합당하게 성찬을 취하기 위해 준비하는 것은 왜 중요한가?
-
“저 멀리 예루살렘 성” 또는 “겸손하게 기도하오니”와 같은 성찬 찬송을 듣거나 가사를 읽는다. 성찬 찬송에 담긴 메시지를 깊이 생각하면 성찬 의식에 대한 감사하는 마음이 어떻게 커지는가?
다른 사람과 함께 배우는 활동
-
교리와 성약 20편 75~79절에 나오는 성찬 기도문을 읽는다. 그룹의 몇몇 구성원들에게 우리가 성찬을 취할 때 어떤 약속을 하는지 찾아보라고 하고, 다른 구성원들에게는 주님께서 그 대가로 무엇을 약속하시는지 찾아보라고 한다. 또한 그룹 구성원들에게 교리와 성약 20편 37절을 읽고 성찬 의식 동안 맺는 약속과 침례 성약 사이의 유사점을 이야기해 보라고 할 수도 있다.
더 알아보기
-
제프리 알 홀런드, “보라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 『리아호나』, 2019년 5월호, 44~46쪽
-
케빈 더블유 피어슨, “여전히 기꺼이 하려는 마음이 있으십니까?”, 『리아호나』, 2022년 11월호, 67~69쪽
-
피터 에프 뭬르, “성찬을 통해 우리는 거룩해질 수 있습니다”, 『리아호나』, 2016년 11월호, 85~8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