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교육원
11: 효과적인 대화


“11: 효과적인 대화,” 영원한 결혼을 준비함 교사 교재 (2003), 40~42쪽.

“11,” 영원한 결혼을 준비함, 40~42쪽.

11

효과적인 대화

교리 개관

구주께서는 이렇게 가르치셨다. “이는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함이라.”(마태복음 12:34) 대화를 효과적으로 하면 다른 사람과 함께하는 것을 즐기고, 느낌들과 생각들을 공유하며, 사랑과 헌신을 통해 처음 알게 된 때로부터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관계를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십이사도 정원회의 마빈 제이 애쉬튼 장로는 이렇게 말씀했다: “서로에 대한 진정한 사랑과 이해심을 갖고자 한다면, 우리는 대화가 단순히 말을 나누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것은 감정과 느낌과 걱정거리를 현명하게 나누는 것입니다. 자신을 온전하게 나누는 것입니다.”(1976년 4월 대회 보고; 성도의 벗, 1976년 8월호, 50~52쪽; 학생 교재, 32~33 참조) 대화를 효과적으로 하는 것은 데이트와 결혼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원리

효과적인 대화는 구혼과 결혼 생활에서 우정을 돈독히 하고 헌신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학생 교재 독서 과제

“가족간의 대화”, 마빈 제이 애쉬튼 장로(32)

교수법 제언

  • 성전그룹 활동. 칠판에 다음 말씀을 적는다: 대화는 데이트 커플의 관계가 한 차원 높은 헌신의 길로 진입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학생들에게 이 원리를 뒷받침하는 예를 말하게 한다. 학생들을 서너 그룹으로 나눈다. 그룹들에게 마빈 제이 애쉬튼 장로의 “가족간의 대화”(학생 교재, 32)를 읽고 효과적인 대화를 위한 애쉬튼 장로의 일곱 가지 제언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을 요약하도록 부탁한다. 애쉬튼 장로가 가족, 식구 등의 말을 사용할 때 학생들이 그 단어들을 데이트 혹은 배우자로 대신 바꿔 쓰도록 제언한다. 그들이 준비가 되었으면, 각 그룹의 대표에게 그들이 알아낸 것을 반원들 앞에서 발표하게 한다.

교수법 제언

  • 성전경전 활동. 경전에는 관계를 해치는 부정적인 대화와 관계를 돈독히 해 주는 긍정적인 대화의 예들이 실려 있다. 칠판에 다음 도표에 나와 있는 제목들을 적는다. 도표의 첫 란을 열거된 참조 성구로 채운다. 반원들을 서너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게 칼럼에 열거한 둘 이상의 성구를 지정해 준다. 그룹들에게 지정된 문단을 연구하면서 ⑴ 긍정적인 대화와 부정적인 대화의 예들과 ⑵ 효율적인 대화의 일반 원리들을 찾게 한다. 각 그룹의 대표에게 그들이 찾아낸 것을 반원들 앞에서 발표하게 하고, 그것들을 칠판에 적는다. 완성된 도표는 다음과 비슷해야 한다.

    참조 성구

    부정적인 대화

    긍정적인 대화

    대화의 원리

    잠언 8:6~9

    악에 대해 이야기하고, 심술 궂고, 비뚤어져있다.

    훌륭한 것, 옳은 것, 진리, 의로움, 단순한 것에 대해 이야기 한다.

    깨끗한 말을 사용한다. 진실을 말한다.

    잠언 15:1~2

    분노를 자극하는 심한 말을 하고, 어리석은 말을 한다.

    분노를 사라지게 하는 부드러운 대답을 하고, 현명하며, 식견이 있다.

    우리는 긍정적이고 정직한 대화를 통해 분쟁을 피할 수 있다.

    잠언 15:28

    악한 것들을 “쏟아낸다.”

    대답하기 전에 “연구” 한다.

    말하기 전에 생각한다.

    마태복음 12:34~37

    악한 마음으로부터 나오는, 정죄 받을 헛된 말이다.

    선한 마음에서 나오는, 정당성이 입증될 선한 말이다.

    우리가 하는 말은 우리의 성품을 나타낼 수 있다.

    마태복음 15:16~20

    악한 마음으로부터 나와서 더럽히고 거짓 증거하고 신성을 모독한다.

    악한 생각을 품으면 악한 말을 하게 된다.

    에베소서 4:29, 31~32

    부패해 있고 악감정과 분노에 차 있으며, 화와 시끄러움과 악의로 가득 차 있다.

    교화시키고, 친절하며, 상냥한 마음을 갖게 하며, 용서한다.

    악한 말을 피한다. 악에 대해서 회개한다.

    골로새서 4:6

    우아함으로 충만하며 순화되어 있다

    자신의 말을 교화시키려고 애써 노력한다.

    학생들이 활동의 일부로서 다음 성구 중의 하나 이상을 검토하게 해도 좋다: 모사이야서 2:32; 앨마서 5:30~31; 12:14; 제3니파이 11:29; 교리와 성약 20:54; 88:124.

교수법 제언

  • 성전그룹 활동. 위의 “교리 개관”에서 소개된 마빈 제이 애쉬튼 장로의 말씀을 소리 내어 읽게 한 후 질문한다: 애쉬튼 장로는 효과적인 대화를 위해 어떤 열쇠를 주었는가?

    반원들을 서너 그룹으로 나눈다. 학생들에게 자신에 대한 다음 정보를 자신의 그룹과 함께 나누게 한다.

    • 태어나서 자란 곳.

    • 가족의 특이한 사항.

    • 좋아하는 여행이나 휴가.

    • 가족의 일원이나 친구에 대해 칭찬하고자 하는 점.

    • 미래의 결혼 생활의 성공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자신의 특성.

    그룹들이 준비가 되었으면, 다음 질문을 한다: 이 주제들 중에서 어느 것이 가장 얘기하기 쉬웠는가? 얘기하기가 가장 어려웠던 주제는 어느 것이었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토론에 다음 질문 중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시킨다.

    • 커플들은 첫 데이트에서 보통 어떤 주제에 대해 얘기하는가? 여러분은 어떤 주제에 대해 얘기하고 싶은가?

    • 만일 깊이 사귀고 있는 커플이 개인적인 주제를 토의하는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

    • 개인적인 주제를 얘기한다면 어떤 문제점이 있을까?

    • 우리는 어떻게 하면 다른 사람이 편한 기분으로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과 생각 및 느낌을 이야기하게 할 수 있을까?

    • 여러분은 자신이 훌륭한 경청자라는 것을 어떤 방법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

    • 여러분은 데이트에서 상대방을 파악하기 위해 질문을 한다면 어떤 질문을 할 것인가?(학생들의 제언을 칠판에 적어도 좋다.)

    • 여러분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상대방과 편안하게 얘기할 수 있다는 것을 상대방이 알 때 어떤 효과를 가져오게 될까?

    • 어떻게 하면 효과적인 대화를 통해 우정, 발전, 조화, 신뢰 및 사랑을 증진시킬 수 있을까?

결론

마태복음 12:34~35야고보서 3:5~6을 읽고 질문한다: 혀가 어떻게 마음과 연결되어 있나? 혀는 어떻게 “작은 불”과 같나? 대화로 인해 두 사람의 관계가 돈독해지거나 파괴되는 이유가 무엇인가? 효과적인 대화는 영원한 관계를 수립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