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6과
교리와 성약 84:1~44
소개
1832년 9월, 미국 동부 여러 주에서 복음을 전파하던 선교사들이 오하이오주 커틀랜드로 돌아왔다. 이 기쁨의 재회에서 선지자 조셉 스미스는 교리와 성약 84편에 기록된 계시를 받게 되었다. 그는 1832년 9월 22일과 23일 이틀 동안 이 계시를 받았다. 본 교재에서는 84편을 세 개의 과로 다룬다. 이 첫 번째 과에서는 신권에 관한 주님의 가르침과 더불어 어떻게 신권은 하나님 아버지께서 가지신 모든 것을 받도록 우리를 준비시키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교수 제언
교리와 성약 84:1~30
주님께서 성전이 세워질 것이라고 선언하시고 신권의 목적을 설명하시다
가능하면, (교사나 가족 구성원의) 신권 권세선 복사본을 반에 가져온다. (신권 권세선을 칠판에 적어도 좋다.) 신권 권세선은 어떻게 신권 권세가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오늘날의 신권 소유자에게까지, 한 신권 소유자에게서 다른 사람에게 부여되어 왔는지를 보여 준다는 점을 학생들에게 이해시킨다.
교리와 성약 84편에는 신권에 관한 계시와 신권이 어떻게 하나님 아버지의 자녀들을 축복하는지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고 설명한다. 계시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모세의 신권 계보가 밝혀진다. 학생들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6~19절을 눈으로 훑어보면서, 모세가 자신의 신권 권세의 근원을 찾아 올라가 하나님에게까지 이르렀다는 것에 주목해 보라고 한다.
-
신권 권세가 하나님에게까지 직계로 연결된다는 것은 왜 중요할까? (히브리서 5:4 참조)
한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17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은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신권의 영원한 특성을 설명한 문구를 찾아보라고 한다.(“시작하는 날도 없고 끝나는 해도 없느니라”) 교사는 여기서 학생들에게 신권이 하나님의 영원한 권능과 권세라는 간증을 전하고, 하나님께서 자녀들의 유익을 위해 그분의 권능을 인간에게 부여하신 것에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할 수 있다.
한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19~22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멜기세덱 신권을 통해 우리가 받을 수 있는 축복을 찾아보라고 한다.
-
19~22절에 따르면, 멜기세덱 신권을 통해 우리는 어떤 축복을 받을 수 있는가? (학생들의 답은 다양할 것이다. 학생들이 다음 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멜기세덱 신권의 의식으로 경건의 능력이 나타난다. 이 교리를 칠판에 적는다.)
-
멜기세덱 신권의 권세로 집행되어야 하는 구원 의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확인, 멜기세덱 신권 부여, 성전 엔다우먼트, 성전 인봉. 이 의식들을 칠판에 적는다.) 이 의식으로 경건의 능력이 나타나는 것을 본 경험이 있는가? 그 경험은 어떠했는가?
-
22절에 따르면, 우리가 멜기세덱 신권의 구원 의식을 받는 것은 왜 중요한가? (이 의식으로 나타난 “경건의 능력”은 우리가 하나님의 얼굴을 보고 살 수 있게 할 것이다.)
다음 진리를 칠판에 적는다. 하나님처럼 되고 그분의 면전에 거하기 위해서, 우리는 반드시 멜기세덱 신권의 구원 의식을 받아야만 한다.
칠판에 쓴 멜기세덱 신권 의식들을 가리킨다.
-
성전에서만 받을 수 있는 의식은 무엇인가?
학생들이 답을 한 후에, 십이사도 정원회의 러셀 엠 넬슨 장로가 전한 다음 말씀을 읽는다.
“성전은 교회에서 하는 모든 활동과 모든 공과, 그리고 점진적으로 추구하는 모든 단계의 궁극적인 목적입니다. … 왜냐하면 그 의식들 없이는 하나님 면전으로 돌아갈 수 없기에, 성전 의식이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성전 축복을 받기 위해 준비하십시오”, 리아호나, 2010년 10월호, 41쪽)
한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23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은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백성들이 하나님의 얼굴을 볼 수 있도록 모세가 그들을 어떻게 준비시켰는지 찾아보라고 한다. 학생들에게 찾은 것을 발표해 달라고 한다. 성결하게 하다[sanctify]는 깨끗하게 하고 성스럽게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해도 좋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를 통해 성결하게 된다.
이스라엘 자손들이 그 마음을 완악하게 하였기 때문에 그들은 이생에서 멜기세덱 신권과 관련 의식을 받을 기회를 놓쳤다고 설명하며, 교리와 성약 84편 24~30절을 요약한다. 하지만, 주님께서는 그들이 발전하도록 계속해서 도움을 주셨다. 주님께서는 소신권, 또는 아론 신권을 주셔서 그들과 계속 함께하셨다.(교리와 성약 84:26~27 참조)
교리와 성약 84:31~44
주님께서 신권의 맹세와 성약을 가르치시다
신권이 있는 한 학생에게 다음 질문에 답해 보라고 한다.
-
나는 신권 소유자로서 어떤 축복을 받았는가? 나는 다른 신권 소유자에게서 어떤 축복을 받았는가?
한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31~32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학생들은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주님께서 신권을 소유한 사람들을 언급하며 사용하셨던 문구를 찾아보라고 한다.
-
주님께서는 신권을 소유한 사람들을 어떻게 부르셨는가? (학생들에게 “모세의 아들들”은 멜기세덱 신권 소유자를 나타내며, “아론의 아들들”은 아론 신권 소유자를 나타낸다고 이해시킨다.)
다음 진리를 칠판에 적는다. 신권의 맹세와 성약
교리와 성약 84편 33~44절은 신권의 맹세와 성약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한다. 이 절들은 (1) 사람이 신권을 받을 때 맺는 성약과 (2) 충실한 신권 소유자에게 하신 주님의 약속으로 요약된다.
다음의 미완성 문장을 칠판에 쓴다. 신권을 받는 사람들이 면, 하나님께서는 (하) 실 것이다.
학생들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33~44절을 눈으로, 또는 짝과 함께 읽으라고 한다. 이 성구에 기초하여, 칠판에 있는 미완성 문장을 완성해 보라고 한다.
-
어떻게 문장을 완성하였는가? (학생들은 다음 원리를 인식해야 한다. 신권을 받은 사람들이 자기의 부름을 영화롭게 하고, 주님과 그분의 종들을 따르고, 영생의 말씀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성결하게 하시고 그분이 가진 모든 것을 주실 것이다.)
한 학생에게 고든 비 힝클리 회장의 다음 말씀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열심히 봉사하고, 신앙과 간증으로 가르치고,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에 의에 대한 확신을 심어 주고 강화시켜 줄 때, 우리는 신권을 영화롭게 하는 것입니다. … 우리가 실의에 빠진 사람에게 손을 내밀고 비틀거리는 사람에게 힘이 되어 줄 때 우리의 부름을 영화롭게 하고 신권의 능력을 크게 하는 것입니다. … 우리가 정직하고 성실하게 생활해 나갈 때 우리는 우리 부름을 영화롭게 하는 것입니다.”(“자신의 부름을 영화롭게 함”, 리아호나, 1989년 7월호, 59~61쪽)
교회에서 부름을 받는 것은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이 신권의 구원 의식을 받도록 준비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 것이기도 하다고 설명한다. 한 학생에게 토마스 에스 몬슨 회장의 다음 말씀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그러면 어떻게 부름을 영화롭게 하겠습니까? 단순히 그것과 관련된 봉사를 행하기만 하면 됩니다. … 저는 온 마음과 온 정성을 다하여, 신권을 받은 모든 형제들이 신권을 존중하고 또 신권을 부여받을 때 오게 되는 신임에 충실할 것을 소망하는 바입니다.”(“신권의 권능”, 리아호나, 2000년 1월호, 58쪽, 60쪽)
-
아론 신권 소유자들은 어떤 방법으로 신권과 관련된 자신의 부름을 영화롭게 하는가?
-
누군가가 자신의 부름을 영화롭게 한 덕분에 여러분이 축복을 받은 적은 언제인가?
신권의 맹세와 성약의 축복은 신권 소유자들을 위한 것만이 아님을 학생들이 알도록 돕는다. 하나님의 가장 큰 축복은 성전에서 서로에게 인봉되는 남자와 여자에게 주어진다. 러셀 엠 넬슨 장로의 다음 말씀을 읽는다.
“장차 언젠가 넬슨 자매와 저는 제 가족과 주님과 영원히 함께 거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성전에서 맺은 성약 및 신권의 맹세와 성약에 충실할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가 ‘내 아버지께서 가지신 모든 것이 [너]에게 주어지리라’(교리와 성약 84:38)라는 주님의 말씀에서 확신을 얻었기 때문입니다.
충실한 자매들은 신권의 축복을 나눕니다. ‘내 아버지께서 가지신 모든 것’이란 말을 생각해 보십시오. … 그것은 세상의 어떠한 상이나 성공으로도 주님께서 그분을 사랑하고 그분의 계명을 지키는 사람들 위에 내려 주시는 그 풍성함을 보상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모로나이서 4:3 참조)(교리와 성약 14:7 참조)”(“Identity, Priority, and Blessings,” Ensign, Aug. 2001, 10)
주님께서 신권의 맹세와 성약의 일부로 약속해 주신 축복을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다음 미완성 문장을 칠판에 적는다. 주님께서는 __________을/를 약속하신다.
학생들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33~34절, 38절, 42절을 눈으로 읽어 보며 주님께서 신권의 맹세와 성약의 일부로 약속하신 축복을 찾아보라고 한다. 학생들의 답을 칠판에 적어도 좋다. 학생들은 주님께서 다음과 같은 축복을 주실 거라고 언급할 것이다. (1) 영으로 성결하게 됨(33절 참조); (2) 몸이 새로워짐(33절 참조); (3) 우리가 아브라함의 씨로 간주됨, 다시 말해서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에게 약속하신 축복을 우리에게 주심(34절 참조); (4) 하나님의 택함받은 또는 선택받은 사람이 되게 하심(34절 참조); (5) 아버지께서 가지신 모든 것이 우리에게 주어짐(38절 참조); (6) 하나님의 천사에게 우리에 관한 책무를 주심(42절 참조) (학생들이 38절에 나오는 약속을 언급할 때, 물질적인 재산이 아닌 하나님의 특성과 영광을 생각해 보라고 권해도 좋다. 예를 들어, 우리는 그분의 진리와 사랑, 기쁨, 평화를 받을 수 있다. 우리는 하나님이 지니신 권능의 충만함으로 축복받을 수 있다.)
학생들에게 신권이 왜 그들에게 의미가 있는지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신권의 축복에 대한 여러분의 간증을 나누는 것을 고려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