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회 교재 및 함께 나누는 시간
제34과: 나는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있음


34

나는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있음

목적

친절한 말과 행동으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준비 사항

  1. 다음 성구를 기도하는 마음으로 공부한다. 마태복음 7:12, 마가복음 10:13~16, 누가복음 10:30~37, 요한복음 13:34

  2. 19과에 나온 예수님이 장님을 고치신 이야기를 복습한다.(요한복음 9:1~7 참조)

  3. 반원들을 위해 종이 하트를 만든다. 그 위에 ‘나는 당신을 사랑해요.’라고 쓴다.

  4. 준비물

    1. 성경

    2. 그림 1-3, 예수 그리스도(복음 그림 킷 240; 62572); 그림 1-43, 소경을 고치시는 예수(복음 그림 킷 213; 62145); 그림 1-48, 블록을 가지고 노는 어린이들; 그림 1-62, 선한 사마리아인(복음 그림 킷 218; 62156)

  5. 활용하기 원하는 보충 활동에 필요한 준비를 한다.

학습 활동

어린이 한 명에게 개회 기도를 부탁한다.

주의 집중 활동

그림 1-48, 블록을 가지고 노는 어린이들을 보여 준다.

주의 집중 활동

  • 이 어린이들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이 어린이들이 친구라고 생각하는가?

  • 친구는 서로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

친구들은 서로 서로를 친절하게 대해야 한다는 것을 어린이들에게 상기시킨다. 우리가 남에게 친절할 때 우리는 그들에게 사랑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노래

어린이들과 함께 “예수님은 누구나 사랑하랬죠”(어린이 노래책, 39쪽)를 다음에 지시된 동작에 맞추어 부른다.

예수님은 누구나 사랑하랬죠 (두 팔을 넓게 펼친다.)

내가 사랑할 때에 (가슴에 손을 댄다.)

남도 사랑해 (자신을 껴안는다.)

예수님은 친절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을 보여주셨음

그림 1-3, 예수 그리스도를 보여 주면서 예수님께서는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려면 남을 대접하라고 말씀하셨다고 어린이들에게 말한다. 성경을 보여 주고, 마태복음 7장 12절(남을 대접하라까지)을 읽는다. 이 구절은 남이 우리에게 친절하길 원하면 우리도 그들에게 친절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이야기

그림 1-43, 소경을 고치시는 예수를 보여 준다. 그림이 나타내는 이야기를 교사가 할 때 어린이들이 도와서 함께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한다.(요한복음 9:1~7 참조)

이야기

  • 예수님은 소경에게 어떻게 친절을 베푸셨는가?

이야기

마가복음 10장 13~16절에 나오는 것과 같이, 어린 아이들을 축복하시는 예수님의 이야기를 들려 준다.

이야기

  • 예수님은 그들에게 어떻게 친절을 베푸셨는가?

예수님께서 일생 동안을 다른 사람들을 도우면서 보내셨다는 것을 강조한다. 친절로써 예수님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사랑을 보이셨다.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서로 사랑하라는 계명을 주셨다고 설명한다. 요한복음 13장 34절을 어린이들에게 읽어 준다. 어린이들에게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란 구절을 몇 번 반복하게 한다.

노래

어린이들과 함께 “서로 사랑해”(어린이 노래책, 74쪽)를 부른다.

나 너 사랑하듯

서로 사랑해

새 계명 주니

서로 사랑해

서로 사랑하면

너, 내 제자인줄

다 이 일로

알게 되리라

(©1961, 1989년 뤄신 시 팍스 판권 소유, 승인을 받아 사용함)

우리는 친절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을 보일 수 있음

이야기

그림 1-62, 선한 사마리아인을 보여 주고, 누가복음 10장 30~37절에 나와 있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이야기를 들려 준다.

이야기

  • 이야기 속에서 친절한 사람은 누구였는가?

  • 사마리아인은 다친 사람을 돕기 위해서 어떻게 했는가?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게 한다. 그들의 생각을 다른 반원들과 함께 나누도록 한다.

때때로 불친절한 것처럼 보이거나 우리와 다른 사람들에게는 친절히 대하기가 힘들 때가 있다고 설명한다. 모든 사람은 친절한 대답을 받을 필요가 있다는 것을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돕는다. 비록 어떤 사람이 불친절하게 보이고 우리와 다른 것처럼 보여도(예로 피부 색깔이 다르다거나 불구인 경우) 우리는 그들을 친절하게 대해야 한다.

가정에서 사랑과 친절을 보이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이야기

  • 여러분은 아버지에게서 어떻게 사랑을 보일 수가 있는가? 어머니에게는? 형제, 자매들에게는?

우리가 가족들에게 친절히 대하면 가족들뿐만 아니라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님께서도 행복해 하신다는 것을 강조한다.

때때로 아기들이나 어린 아이들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을 가져가거나 부러뜨리기도 한다고 설명한다. 매우 어린 아이들은 그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항상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돕는다. 우리는 그들에게 친절히 대해야 하며 화를 내지 말아야 한다. 깨질 수 있는 물건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들을 어린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어야 한다.

이야기

  •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님께 우리는 어떻게 사랑을 보여 드릴 수 있는가?

우리는 계명을 지키고 교회에서 경건하며 주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도움을 줌으로써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님에 대한 사랑을 보여 줄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우리는 친절하게 말을 함으로써 사랑을 보여 줄 수 있음

활동

어린이들에게 아래에 나온 지시 사항에 따르도록 한다. 어린이들이 각 동작을 하면 지시에 따라준 것에 대해서 감사를 표시한다.

활동

  1. 일어나 주세요.

  2. 앉아 주세요.

  3. 일어나서 한 바퀴 돌아주세요. 앉으세요, 다시 일어나세요.

  4. 머리 위로 손을 쭉 뻗으세요.

  5. 조용히 앉으세요.

활동

  • 자신이 말한 공손하고 친절한 말은 무엇인가?

  • 누군가가 여러분에게 친절하게 말하거나 “감사합니다.”라고 했을 때 여러분의 기분은 어떤가?

어리이들에게 “미안합니다.”나 “실례합니다.”와 같은 다른 공손한 표현들과 이러한 표현을 사용해야만 하는 상황에 대해서 상기시킨다. 다음 질문을 한다.

활동

  • 물을 마시기 원할 때 어떤 식으로 정중하게 요청할 수 있는가?

  • 누군가가 여러분에게 선물을 주었을 때 무엇이라고 말해야 하는가?

  • 여러분이 누군가의 기분을 상하게 했을 때 무엇이라고 말해야 하는가?

  • 다른 사람의 주의를 끌기 위해서 어떤 식으로 정중하게 말할 수 있는가?

비록 가끔씩 다른 사람이 우리에게 불친절하게 말할지라도 우리는 여전히 친절하게 말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노래

“예수님은 누구나 사랑하랬죠”(어린이 노래책, 39쪽)를 어린이들과 함께 부른다.

간증

교사가 관찰한 것 중에서, 어린이들이 친절하게 대하는 모습에 대해서 칭찬해 준다.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님께서는 모든 사람을 사랑하시기 때문에 우리가 서로에게 친절한 것을 보시면 매우 기뻐하신다는 것을 설명한다.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님께서는 우리가 친절한 사람이 되길 바라신다는 간증을 한다 모든 어린이들에게 종이로 만든 하트 모양을 나누어 준다. 어린이들에게 그 위에 쓰여진 글을 읽어 주고, 어린이들에 대한 교사의 사랑을 표현한다.

보충 활동

공과를 진행하면서 다음 활동 중 몇 가지를 선택한다.

  1. 다음 예들(또는 교사 자신이 만들어 낸 것)을 읽어 주고 만약 그 행동이 친절함을 표현하거나 사랑을 보여 주는 것이라면 종이 하트 모양을 들어 보이도록 한다. 또 그 행동이 친절하지 않고 사랑을 보여 주는 것이 아니라면 종이 하트를 무릎에 놓도록 한다.

    • 모두가 돌아가면서 게임을 한다.

    • 불평을 한다.

    • 다친 아이를 도와 준다.

    • 자신을 화나게 만든 사람을 때린다.

    • 집회소 안에서 경건하게 걷는다.

    • 공손하게 말하고 “감사합니다.”라고 말한다.

    • 다음 사람을 위해서 문을 잡아 준다.

    • 교회에서 떠든다.

    • 청소를 돕는다.

    우리가 다른 사람에 관해 친절하며 그들에게 우리의 사랑을 보여 줄 때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님께서는 행복해 하신다는 것을 어린이들에게 상기시킨다.

  2. 어린이들이 친절하며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을 보여 줄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흔한 상황을 몇 가지 생각한다. 이러한 상황들을 종이 위에다 쓰고 어린이들에게 이 종이 중 한 장을 고르게 한다. 각 상황을 읽고 종이를 집은 어린이가 이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게 한다. 다음 보기들을 이용할 수 있다.

    • 당신과 한 친구가 함께 놀고 있었다. 다른 어린이가 방으로 들어온다. 여러분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여러분과 여러분의 누이가 똑같은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싶어 한다. 여러분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어린 남동생이 자신의 물건을 가지고 갔다. 여러분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3. 여러분의 와드나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친근한 예를 들어서 몸이 불구인 사람들에게 어떻게 친절과 사랑을 보여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토론한다. 어린이들이 장애인들을 도울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을 생각해낼 수 있도록 돕는다.

    • 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우리는 어떻게 사랑을 보여 줄 수 있는가?

    • 듣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우리는 어떻게 사랑을 보여 줄 수 있는가?

    • 휠체어나 목발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우리는 어떻게 사랑을 보여 줄 수 있는가?

  4. 혹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다른 피부 색깔을 가진 사람들이라도 우리 모두는 하나님 아버지의 자녀라는 사실을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돕는다. 우리는 서로에게 친절해야만 한다. 우리는 모든 사람들에게 대접받기 원하는 대로 그들을 대접해 주어야 한다. 모든 사람들은 어떤 면에서는 제각기 다 다르다는 것을 설명한다.

나이가 적은 어린이들을 위한 추가 활동

  1. “내가 먼저 친절하렵니다”(어린이 노래책, 83쪽)를 부른다.

  2. 어린이들이 다음 동작을 따라할 수 있도록 돕는다.

    미소는 아주 쉽게 전달돼요 (입을 양끝을 위로 당겨 미소짓게 만든다.)

    내가 슬플 때 (입술 양끝을 아래로 당겨 찡그린 표정을 만든다.)

    미소를 지으려고 노력하지요 (입술 양끝을 위로 당겨 미소짓게 만든다.)

    나는 곧 기뻐져요 (양손을 가슴 위에 놓는다.)

    (팻 그래함,‘기쁨을 느낌’, 프렌드, 1990년 3월, 21쪽)